고전적인 논리 기반 추론에서는 규칙의 조건과 결론이 항상 참(True) 또는 거짓(False) 이어야 함
IF A is true
THEN B is true
즉, 100% 확실한 지식을 전제로 함
그러나 현실 세계에서는 100% 확실한 정보나 지식을 얻는 것은 거의 불가능함
따라서 우리가 사용하는 지식은 항상 어느 정도의 불확실성(uncertainty) 을 포함함
→ 실제 상황에서는 다양한 변수와 확률적 사건이 존재하여 완전한 예측이 어려움
규칙: “감기이면 열이 있다.”
→ 항상 참일 수는 없음
→ 일부 환자는 감기인데 열이 없을 수도 있음
→ 현실의 전문가 시스템에서는 부분적 신뢰로 판단해야 함
| 구분 | 설명 |
|---|---|
| 데이터의 불확실성 | 센서 데이터의 측정 오차, 장비 정확도 문제 등으로 인해 데이터가 완전하지 않음 |
| 지식의 불완전성 | 전문가로부터 얻은 지식이 불완전하거나, 문제 자체가 불확실함 (예: 주식, 부동산 예측) |
| 전문가 의견 불일치 | 전문가 간의 해석과 판단이 다를 수 있음 |
| 정보 획득의 불완전성 | 모든 정보를 수집·처리할 수 없으므로 일부 정보 손실 발생 |
| 언어적 모호성 | 자연어에는 모호한 표현이 많음 (예: “조금”, “대체로”, “거의”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