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제유형
O/X 및 객관식, 서술형 주관식 1~2 문제
⇒ 교안에 나온 개념 (정의 키워드 특징 중심으로 정리)
예상문제 O/X 퀴즈
Ch5 Network Data and Errors
1. 바이트 오더
- 파이썬 struct 모듈에서
<i는 빅 엔디안 바이트 오더를 의미한다. X
- 리틀 인디안을 의미함 화살표 방향: MSB에서 LSB, 전송/저장순서: 왼쪽부터
- 네트워크 바이트 순서는 일반적으로 빅 엔디안을 기준으로 한다. O
- CPU 아키텍처에 따라 호스트 바이트 순서는 다를 수 있다. O
2. 프레이밍 (Framing)
- TCP에서는 메시지의 경계를 자동으로 보장해주므로 프레이밍 문제가 없다. X
- TCP에서 sendall()한 데이터는 여러 recv()로 나뉘어 수신될 수 있다. O
- 데이터 앞에 길이를 붙이는 방식은 수신 측이 얼마나 받을지 정확히 알 수 있게 해준다. O
3. Pickle과 Self-delimiting Format
- pickle.dumps는 객체를 바이트 형식으로 직렬화하며, 내부적으로 구분자 역할을 한다. O
- pickle.loads는 파일 객체에서 직접 피클을 로드하는 함수다. X
- pickle.load()를 여러 번 호출하면 하나의 파일에서 여러 객체를 순차적으로 읽을 수 있다. O
4. JSON/XML 및 문자 인코딩
- JSON은 UTF-8 인코딩을 기반으로 직렬화되며 파이썬 표준 모듈에 포함되어 있다. O